(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뉴욕자본시장 참가자들은 이제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글로벌 공급 충격에도, 중앙은행이 나서면 물가 둔화에 효과적이라는 분석들이 제기된다.
하지만, 금리인상을 반기지 않는 주체 중 하나로 의회와 정부가 지목된다. 미국에서는 향후 물가 압력이 거세졌을 때 의회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방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윌리엄 L 실버 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전 뉴욕대 스턴경영대학원 교수는 1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WSJ) 오피니언을 통해 “최근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공급 중단과 일부 수요 변화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이었다고 볼 순 없다”며 “코로나 팬데믹(대유행) 영향을 상쇄하는 데 있어 연준의 긴축 통화정책이 중요하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작년 미국의 물가 둔화가 경기 침체를 동반하지 않자, '원래 일시적인 인플레였다'며 연준의 역할을 낮게 평가하고 있다. 실버는 이를 정면 반박한 것이다. '합리적 기대이론'에 따르면 성장률을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 물가상승률을 낮출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가 설명한 연준의 이번 금리정상화 효과는 이렇다. 2022년 초부터 연준은 소비자·예금자·투자자들에게 인플레이션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강한 시그널(신호)을 보냈다.
이는 기업들의 가격 인상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소비자들은 적정 소비를 할 수 있게 됐고, 연준이 금리인상 약속을 지키면서 신뢰가 확대하는 경로다. 당국의 신뢰가 인플레이션 둔화를 유발한 모습은 지난 제1차 세계대전과 유사하다고 실버는 전했다.
하지만 그는 앞으로 인플레이션 급등이 재현됐을 때, 연준이 같은 정책 기조를 활용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확대 재정에 대한 욕심으로 의회가 발목을 잡을 수 있어서다.
실버 전 교수는 “과거 1차 세계대전 때는 예산 균형을 향한 근본적인 변화가 디스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 둔화)을 불러일으켰다”며 “현재 미국은 국내총생산(GDP)의 6%에 달하는 재정 적자를 기록하고 있고, 이는 고용이 완전한 평시 경제 상황에서는 전례 없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정부의 이자 비용을 제한하려는 의회의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연준이 필요한 만큼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신뢰성이 무너질 수 있다”며 “의회가 이번 물가 둔화를 예산 균형 회복의 기회로 삼지 않는다면, 디스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jhle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