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슬기 이수용 기자 =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에 대한 고강도 구조조정을 예고한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PF 사업장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설 것을 요구하기로 했다.
은행권의 경우 PF 대출 규모가 전체 대출에 비해 크지 않아 않아 부실 사업장이 적지만, 충분한 수준의 손실흡수능력을 갖췄는지 들여다보겠다는 것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5일 “은행의 PF 사업장에 대해 충당금 적립과 사업성을 들여다볼 것”이라며 “본 PF 비중이 커 걱정은 적으나 태영건설 워크아웃 이후 점검할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이 부실 PF 정리에 속도전을 벌이는 만큼 금융 전 권역별 점검 과정에서 은행 사업장도 살펴보겠다는 취지다.
금감원은 은행 PF 점검 과정에서 손실흡수능력을 위주로 들여다볼 계획이다.
은행들이 PF 대출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았는지, PF 사업장별 충당금 적립 방식은 적정한지, 사업장에 대한 사업성 평가는 어떻게 진행했는지 확인한다.
은행의 PF 사업장의 경우 타 금융권보다 건전한 상황이다.
은행의 PF 대출은 대부분 선순위 대출이며, 브릿지론 비중이 높은 2금융권과 달리 은행은 본 PF로 넘어간 사업장을 주로 다룬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은행권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44조2천억원으로 금융권 중 가장 많다.
반면, 은행의 PF 대출은 작년 3분기 기준 연체 잔액이 극히 적어 연체율은 0%로 나타났다.
은행 다음으로 PF 대출이 많은 보험업(43조3천억원)의 연체율은 1.11%다.
부실 PF에 대한 우려가 커진 다른 금융권의 연체율로는 증권사가 13.85%, 저축은행이 5.56%, 카드 및 캐피탈이 4.62%, 상호금융이 4.18%로 집계됐다.
은행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는 하지만 금융당국이 고강도의 PF 사업장 구조조정을 앞둔 만큼 은행권에서도 미리 이를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전날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부실 부동산 PF와 관련해 “원활히 진행된다면 3~4분기까지 구조조정의 틀이 잡힐 것”이라며 “금융사가 충분하게 예상 손실을 반영해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침체가 이어지면서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등 리스크가 나타날 수 있는 상황에서 은행권도 예외는 아니라는 것이다.
하나금융그룹은 최근 실적발표를 진행하면서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에 따라 대손충당금 822억원을 적립했다고 설명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들이 보유한 PF 사업장은 대부분 건전하고 없고 태영건설 관련 익스포저도 문제가 될 수준은 아니다”라면서 “보유한 사업장 회수엔 문제가 없으나, 건설비용 상승 및 분양률과 관련해 사업장을 신규 취급하기엔 고민이 많다”고 말했다.
sgyoon